본문 바로가기
청소 및 소독

안전한 일상을 위한 소독과 방역의 차이 이해하기

by 환경 지키미 2023. 3. 21.
반응형

★ 시대가 지남에 따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소독과 방역은 우리의 건강한 일상생활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필수요소가 됐습니다

간략하게나마 그 차이를 제대로 알고 이해하여 평상시 올바른 소독작업과 철저한 방역 수칙을 지킴으로서 언제나 항상 건강한 우리의 일상생활을 지켜 나갑시다

 

케이디펜스 소독 로고
케이디펜스 소독 로고

 소독과 방역

 

※ 과연 소독은 무엇이고 방역은 또 무엇일까요?

 

소독(Disinfection)이란?

독을 없앤다는 뜻으로 상처나 물체등에 묻어 있는 병원균을 약품이나 열, 햇빛등으로 죽이는 것을 말합니다

 

방역(Quarantine)이란?

방역이라 함은 전염병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일련의 모든 것들을 방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

 

 

 소독과 방역 그에 따른 연관성

 

 소독(Disinfection)

 

▷ 소독은 감염병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

* 감염병(Infectious Disease) : 병원균의 침입으로 생기는 질병

- 감염이라 함은 병원균이 몸에 침입하는 것을 말하는데 단순히 병원균이 침입했다 하여 감염 이라하는 것은 아니며 침입한 병원균이 그 수를 증식하거나 퍼지는 것을 감염이라 말합니다

그리고 그런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을 바로 감염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

▷ 소독작업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 대표적으로 살균(Sterilization) 작업과 살충(Insecticide) 작업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재에는 살균작업이 매우 중요시 대두되고 있습니다

-  살균(殺菌 - Sterilization) : 세균 및 바이러스등 미생물을 약품 혹은 열이나 햇빛등으로 죽이는 것

○ 살균작업으로는 약품과 초미립자살포기(ULV)등을 활용한 살균작업이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

초미립 살포기를 활용한 살균작업
초미립 살포기를 활용한 살균작업

 

-  살충(殺蟲 - Insecticide) : 해충 즉 우리에게 해가 되는 벌레를 죽여 없애는 것

살충작업으로는 방역소독기를 활용한 연막작업 혹은 약품 분무작업과 트랩설치등이 있습니다

살충을 위한 연막, 트랩, 분무작업
살충을 위한 연막, 트랩, 분무작업

 

 방역(Quarantine)

 

▷ 방역은 전염병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

* 전염병(Communicable Disease) : 사람 간의 접촉 혹은 물 또는 공기 등을 통해 타인에게 전염될 수 있는 질병

방역은 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이라는 표현보다는 수칙을 지킨다는 표현이 더 올바르며 방역수칙은 상황에 따라 그 기준을 단계별로 지침을 정해놓고 모든 사람이 지키도록 하고 있습니다

- 대표적인 방역(防疫 - Quarantine) 수칙으로는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므로 격리(隔離) 조치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

사회적 거리두기 이미지
사회적 거리두기 이미지

- 사회적 거리 두기가 바로 이 방역수칙에 따른 격리조치의 대표적인 한 예로 볼 수 있습니다

 

 

소독, 방역 관련 이미지
소독, 방역 관련 이미지

★ 소독과 방역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위생적인 환경 조성입니다 ★

 

※ 항상 선행적인 올바른 청소가 일상 속에서 수시로 이루어져 최상의 위생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합니다 

 

● 아주 간략하게 소독과 방역에 대한 차이를 기본개념으로 알아보았는데요 간혹 소독과 방역에 대해 서로 혼동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

이제 소독과 방역이라는 것은 우리의 건강한 일상생활을 위해 떼려야 뗄 수 없는 너무도 중요한 일상 그 자체가 되었습니다

● 항상 그 중요성을 인지하여 언제나 올바른 소독작업과 상황에 따른 철저한 방역수칙을 지킴으로서 건강한 삶을 유지해 나갑시다

반응형